KPS Special Sessions

2025 KPS Spring Meeting   April 23-25, 2025   Daejeon Convention Center 1

Special sessions are comprised of several invited talks or panel discussions on specific issues of physics, which are organized by KPS committees or associated institutes. They include both academic issues and non-academic ones. E (K) represents an ‘English session’(‘Korean session’) where all authors present in English(Korean).

 

K "새물리 특별세션: 기초학문 발전 방향"

운영자: 부상돈(전북대), 이재광(부산대), 제숭근(전남대), 지영래(순천대)

일시/장소: 10월 23일(수요일) 13:30~15:15 / 여수세계박람회기념관 소회의실 1호

최근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고교 기초 교육과정 축소 및 대학의 첨단 분야 쏠림이 맞물려 기초과학 소멸 위기가 그 어느때보다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오랫동안 물리학에 몸담고 있으면서 어려운 역경에서도 위기를 이겨냈던 시니어분들을 모시고 기초물리 소멸의 위기를 헤쳐나갈 지혜와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 발전 방안을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  좌장: 이재광(새물리 실무이사, 부산대)

•  13:30~13:35 인사말 : 홍석륜 교수 (현 물리학회 회장, 세종대 물리학과)

•  13:35~13:55기초학문의 위기 및 발전 방향1 : 부상돈 교수 (현 새물리 편집위원장, 전북대 물리학과)

•  13:55~14:15기초학문의 위기 및 발전 방향2 : 심재호 교수 (부산대 생물교육과)

•  14:15~14:35기초학문의 위기 및 발전 방향3 : 김수란 교수 (경북대 물리교육과)

•  14:35~14:55기초학문의 위기 및 발전 방향4 : 지영래 교수 (현 새물리 부실무이사, 순천대 물리교육과)

•  14:55~15:15기초학문의 위기 및 발전 방향5 : 김민철 교수 (공주대 물리교육과)

 

K “그녀의 호기심, 그의 궁금증 시즌 2” / 2024년 "KPS-KOFWST 젊은 연구자상” 수상자 논문 발표 및 시상

운영자: 조연정 (경북대)

일시/장소: 10/23일(수) 15:30-17:18 / 세미나룸 8호

작년 가을 학술대회의 여성세션에서 열렬한 호응을 받았던 "그녀의 호기심, 그의 궁금증" 프로그램이 시즌 2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여성특별세션에서는 물리학 네 분야의 교수님들을 모시고, 한 사람을 매혹시키는 하나의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고자 합니다. 우리 동료 연구자들의 눈을 반짝반짝하게 만드는 그 문제가 무엇인지, 그 원초적인 지점을 함께 탐색하는 귀한 시간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그리고 2024년 “KPS-KOFWST 젊은 연구자상” 수상자의 연구결과 발표 및 시상을 진행합니다. KPS-KOFST 젊은 연구자상은 여성 물리인의 연구역량제고 및 핵심리더 육성, 업무경쟁력 강화 및 리더급 진출 확대, 전공분야 연구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사회 진출 촉진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프로그램]

•  15:30-15:35 인사말: 임혜인 교수(여성위원회 위원장, 숙명여대)

•  15:35-16:00 KPS-KOFWST 젊은 연구자상 시상식 (2명)

•  16:00-17:18 강연 및 멘토링- 강연자: 김언정 (동국대), 박권 교수(고등과학원), 박종철 교수(충남대), 서정화 교수(서울 시립대)

 

K "기초연구지원의 현황과 전망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basic research fund)"

운영자: 김창영(서울대), 정문석(한양대), 박경덕(POSTECH)

일시/장소: 10/24일(목) 16:24~18:12 / 엑스포홀

정책 세션의 주제는 “기초연구지원의 현황과 전망”입니다. 기초과학에 대한 연구비 지원은 많은 회원님들의 관심사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재단 자연과학단 안태규 단장님으로부터 기초연구과제에 대한 정부의 지원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의견을 듣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

•  인사말: 김창영 (정책위원회 위원장, 서울대 교수)

•  "기초연구 지원의 현황과 전망": 안태규 (한국연구재단 자연과학단장)

 

K "신진과학자들의 연구비 문제에 대한 의견수렴 (Panel discussion on research funding for young scientists)"

운영자: 김창영(서울대), 정문석(한양대), 박경덕(POSTECH)

일시/장소: 10/25일(금) 08:30~10:18 / 엑스포홀

정책 세션의 주제는 “신진과학자들의 연구비 문제에 대한 의견수렴”입니다. 임용된 지 5년 이내 조교수부터 박사후연구원 그리고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패널들이 연구비 확보에 대한 문제점들을 연구재단에 질의하고 개선방안에 대한 토의를 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  인사말: 김창영 (정책위 위원장, 서울대 교수)

•  "신진과학자들에 대한 연구비 지원": 안태규 (연구재단 자연과학단장)

•  패널 토론

 

Open KIAS 특강 (Open KIAS Special Lectures: Quantum Sensing for Particle Physics)

운영자: 이승준 (KIAS)

일시/장소: 10월 24일(목) 13:00~14:12, 엑스포홀

본 세션의 주제는 입자물리와 Quantum Sensing 입니다. Quantum Sensing은 많은 회원님들의 관심사라고 생각됩니다. 연구자 뿐만 아니라 대학원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특별히 입자물리에 포커스를 맞춘 본 세션은 이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frontier에서 연구하고 있는 UNSW Sydney 대학의 Victor Flambaum 교수님과, 이분야에서 새로운 국제실험을 개척하고계신 고려대의 최수용 교수님을 모시고 이분야의 최근 동향 및 미래전망을 들어보려고 하오니 많이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topic of this session is particle physics and quantum sensing. Quantum sensing is a subject of interest to many members. This session will be very beneficial not only for researchers but also for graduate students. Specifically, this session focuses on particle physics and features Professor Victor Flambaum from UNSW Sydney, who is conducting frontier research in this field globally, and Professor Choi Soo-Yong from Korea University, who is pioneering new international experiments in this area. We look forward to hearing about the lates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 this field, so please look forward to it.

[프로그램]

•  프로그램 소개 이승준 (고등과학원 교수)

•  Effects of New Physics in Atoms and Molecules (Theory): Vicotor Flmbaum (UNSW Sydney 교수)

• Long baseline atom interferometer experiments: View from a particle experimentalist (Experiment): 최수용 (고려대 교수)

 

[Program]

•  Program Introduction: Seung Joon Lee (KIAS)

•  Effects of New Physics in Atoms and Molecules (Theory): Vicotor Flmbaum (UNSW Sydney 교수)

• Long baseline atom interferometer experiments: View from a particle experimentalist (Experiment): : Suyong Choi (Korea University)

 

K "학부생 물리연구 경진대회 (Undergraduate Physics Research Competition)"

운영자: 강성준 (경희대), 김근수 (세종대), 오홍석 (숭실대), 황진웅 (강원대)

일시/장소: 10/24일(목) 11:30~13:00 / 2층 엑스포홀 로비

학부생 물리연구 경진대회(Undergraduate Physics Research Competition)는 물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부생이 학기 중이나 방학 동안에 준비한 연구논문, 실험도구, 교육 자료, 특허 관련 과학 아이디어, 데모용 실험 자료 활용 방법 등을 발표하는 대회 입니다.

물리학은 자연을 이해하는 근본이 되는 학문이나, 요즘 국내 대학에서는 물리학에 대해 깊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는 학생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단순 교과 지식 습득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연구 활동을 통해 물리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격려와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학부생 물리연구 경진대회의 목표입니다. 이러한 경험은 장래에 학생들이 물리 분야의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관련 산업체에 진출할 때 소중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지난 7월 접수한 팀 중 심사를 통해 30개의 본선 진출팀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번 2024년 가을 학부생 물리연구 경진대회 본선 대회에서는 선정된 30팀이 그동안 준비한 연구결과 및 아이디어를 발표할 예정이니 많은 회원님의 관심을 부탁드립니다.